본문 바로가기
이슈아카이브

시사기획창 <500억 한방에 속여, 먹다>

by newstargram 2024. 9. 30.
반응형

10월 1일 화요일 오후 9시 40분 KBS1TV

 

KBS 시사기획창  

 

영양 보충에도, 다이어트에도, 관절염에도 한국인들이 ‘만병통치약’처럼 먹고 있는 건강기능식품. 국내 시장 규모만 6조 원대다. 제약 회사까지 뛰어들며 가파르게 발전하고 있지만 그 이면은 퇴보와 막장 그 자체다. 건강기능식품 마케팅 무대가 TV에서 SNS로 옮겨오면서 광고는 과장·허위·불법으로 점철되고 있다. 어느 지경까지 왔을까. 이 SNS 광고 약 800건을 직접 확인해봤다. 

  

■ "의사가 추천"?...배우는 기본, 도용까지

SNS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건강식품 광고 유형 중 하나는 의사, 약사, 한의사가 성분을 추천하는 것이다. 소비자들도 ‘전문가 말이니까’라며 믿고 구매한다. 그러나 취재 결과 대부분 가운 입은 배우였다. 사칭인 게 들통나지 않도록 그 수법은 더 발전하고 있다. 해외 배우를 고용해 가운을 입히는 건 기본. 아예 진짜 해외 전문의들의 영상을 무단 도용해 광고에 사용하는 경우도 있었다. 비포-애프터 광고, 즉 후기를 담은 광고 역시 소비자를 속이고 있었다. 취재진은 이 광고들이 실제 후기가 아니라 업체들이 조작했다는 흔적을 찾아냈다.

     

■ '유재석' 도용한 사기 업체까지

도용과 사기도 불법이지만, 이런 의·약사 및 후기를 활용한 광고 자체는 모두 불법이다. 그런데도 넘쳐나는 이유는 SNS 광고 물량이 너무 많아 단속이 어렵기 때문이다. 여기에 구글, 메타, 틱톡 등 해외 업체들이 광고 게시자 정보를 우리 당국에 공개하지 않아, 수사를 해도 잡을 수 없는 상황이다. 이런 틈을 타, 진짜 사기 업체도 등장했다. 개그맨 유재석 씨가 진행하는 한 프로그램에서 비만 치료제가 나왔다는 소식을 다룬 부분을 교묘하게 잘라 제품 광고에 쓴 것. 이를 믿고 수백만 원어치 다이어트 제품을 산 소비자들이 줄을 잇고 있다. 오늘도 이 광고는 사람들을 유혹하고 있다.

     

■ "SNS 게시물, 80%는 숨은 광고"...업체는 수백억대 매출

인스타그램에서 ‘당뇨’, ‘다이어트’ 등 관련 단어를 검색해보니 최근 게시물 100건 중 정식 광고는 약 20건이었다. 그런데 나머지 80건은 카드뉴스나 정보성 게시물을 가장한 숨은 광고였다. 하지만 설문조사 결과 소비자들은 이런 SNS 광고를 건강 정보로 믿고 있었다. SNS 특성상 클릭 한 번이면 구매 페이지로 넘어가기 때문에 SNS에서 광고를 접한 뒤 구매로 이어지는 비율도 높았다. 이렇게 소비자를 속여먹은 광고를 발판으로 업체들은 수백억 원에서 수천억 원에 이르는 연간 매출을 올리고 있다. 낮은 처벌 수위, 부족한 단속은 불법을 더 부추기는 상황. 

KBS 이 SNS 불법 광고 행태를 알아보기 위해, 건강식품 업체를 차려 그 실태 속으로 들어가봤다. 

반응형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